강아지 예방접종 매년 종류, 간격(시기), 비용, 부작용 / 구충제

강아지를 키우는 애견주들이 꼭 해줘야할 강아지 예방접종을 안하게 된다면 사랑하는 가족인 강아지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간격), 예방접종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다양한 정보를 issuegram 홈페이지 (여행지,맛집,건강,경제,부동산 등)에서 만나보세요.

홈페이지 바로가기



◼︎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와 시기(간격), 비용, 부작용

강아지 영양제 판매순위

강아지 사료 판매순위

1.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와 예방질병 (필수 예방접종)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 시기 간격 부작용 비용 가격 구충제
강아지 예방접종 총정리(확대👆)

◼︎ 종합백신 (DHPPL) (홍역, 파보장염, 간염, 파라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

► 홍역 : 호흡기 질환, 눈 질환, 피부질환, 발열, 혈관 이상, 성장지연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파보장염 : 구토를 동반한 설사, 탈수 증상, 백혈구 수치 저하로 인한 쇼크, 무기력, 식욕 부진 등을 예방합니다.

► 간염 : 백혈구 감소, 위장 비대, 간 통증, 발열, 황달 구토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파라인플루엔자 : 식욕감소, 기침, 발열, 코 분비물 등을 예방합니다.

► 렙토스피라 : 눈 질환, 황달, 근육통, 무기력, 발열, 탈수, 구토 증상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다이어트 식단 추천 (연애인들 식단은?)

다이어트 식단보기



◼︎ 코로나 바이러스 장염 백신

▶︎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생긴 백신으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코로나19와는 다르며 강아지들에게 전염성이 강한 장염을 일으켜 식욕부진, 구토, 설사, 발열, 백혈구 감소증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한마리 이상 키우는 애견주 분들에게는 더욱 필요한 백신입니다.

◼︎ 컨넬코프 (전염성 기관지염)

► 전염성 기관지염은 말 그대로 사람으로 치면 ” 감기 “에 걸린 것 입니다. 사람은 면역력이 강하기 때문에 치료를 통해 감기가 낫지만 강아지가 감기에 걸리면 치료도 어렵고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되어 꼭 필수적인 예방접종 입니다.

◼︎ 광견병 백신

▶︎ 광견병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질병으로 동물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되는 인수공통 감염병 입니다. 급성 뇌질환으로 치사율이 높으며 증상으로는 경련, 침 흘림, 마비, 구토, 식욕저하, 기침 등을 나타냅니다.

2. 강아지 예방접종 순서와 시기(간격)

► 생후 6주차 : 종합백신 1차와 코로나 바이러스 장염 백신 1차를 접종 합니다.

▶︎ 생후 8주차 : 1차 예방접종 이후 2주 간격으로 8주차때 종합백신 2차, 코로나 바이러스 장염 백신 2차를 접종 합니다.

► 생후 10주차 : 2차 접종 후 2주가 된 10주차에 종합백신 3차와 컨넬코프(전염성 기관지염) 1차를 함께 접종 합니다.

▶︎ 생후 12주차 : 종합백신 4차와 컨넬코프(전염성 기관지염) 2차를 접종 합니다.

►생후 14주차 : 마지막으로 종합백신 5차와 광견병 백신을 접종하면 매년 1년 간격으로 예방접종을 해주어야 합니다.

3. 강아지 예방접종 비용(가격)

▶︎ 종합백신(DHPPL) 예방접종 비용(가격) : 2만5천원~3만원.

► 코로나 바이러스 장염 백신 비용(가격) : 1만5천원~2만원.

▶︎ 컨넬코프 (전염성 기관지염 예방접종 비용 : 1만5천원~2만원.

► 광견병 백신 비용 : 2만5천원~3만원.

► 항체 검사 비용 : 4만5천원~5만5천원 (병원마다 가격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수여행 가볼만한곳 & 맛집 베스트10 추천 (리뷰+999)

여수여행 바로가기



4. 강아지 예방접종 부작용

▶︎ 강아지 예방접종 이후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얼굴과 몸이 붓거나 심할 경우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예방접종을 하고 병원에서 최소 10분~20분 경과를 지켜보고 귀가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또한 부작용이 일어났다면 접종한 백신, 제조사를 확인하여 다음 접종때에는 의사에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5. 강아지 구충제 주기, 종류

►내부 기생충 : 1년에 2회, 3개월 간격으로 먹여야 하는 내부 기생충 구충제 약은 어미의 탯줄을 통해 전염되거나 외부를 통해 전염되는 회충, 촌중, 원충, 십이지장충 등의 기생충을 예방 합니다.

▶︎ 외부 기생충 : 월 1회, 2개월~3개월 간격으로 먹어야 하며 진드기, 개선충, 옴, 모낭충, 벼룩, 귀 진드기 등의 외부 기생충으로 부터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심장사상충 : 대부분 모기로 부터 전염되는 심장사상충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가 생기기 시작하는 여름전에 구충제 약을 먹이는것이 좋습니다. 구충제를 먹이기전 심장사상충에 감염 되었는지 확인 후 먹여야 안전합니다.

※ 다양한 정보를 issuegram 홈페이지 (여행지,맛집,건강,경제,부동산 등)에서 만나보세요.

홈페이지 바로가기